《섬의 얼굴, 4.3 남겨진 자의 초상》展
제 목 : 《섬의 얼굴, 4.3 남겨진 자의 초상》展
기 간 : 2019. 4. 2 – 2019. 4. 23
장 소 : 복합공간 소네마리
작 가 : 김준환, 박선영, 박종호, Michael Evans
작 품 : Painting
주 최 : 복합공간 소네마리
후 원 : 네오룩닷컴, 수육넘어104
http://www.nomadist.org/
● 3명의 화가는 한 친구로부터 초상화를 같이 그리자는 제안을 받았습니다.
화가들은 자신만의 해석을 담아 사진속의 인물을 재현 해달라는 부탁을 받았습니다.
사진엔 제주 4·3 희생자 유족이 있었습니다. 4·3이 발생한 지 70년이 지난 2018년에
그녀는 희생자의 유족을 만났습니다. 그들을 만난 곳은 희생당한 혈족의 넋을 위로해
드리는 제주 큰굿 행사장이었습니다. 유족들의 얼굴을 기록하는 부대행사 사진관에서
일을 한 것을 계기로 그녀는 3명의 친구들과 함께 손그림으로 사진을 그리기 시작했
습니다.
“옛말에 이르기를 적당히 아프고 적당히 슬퍼야 그림으로 담을 수 있는데 처음 만난
4.3은 한라산보다 크고 바다보다 넓어 차마 그릴 수 없어서 밝게 그리기로 했다 헙네다.
살아생전 환하게 웃어볼 날 없으신 분들에게 웃음꽃을 선물하고 싶었다 헙네다”.
“그림 속의 얼굴은 유족의 얼굴입네까, 아니면 그 험악한 시절에 세상 잘못 만나 이승을
마감한 어머님, 아버님의 얼굴입네까? 어느 유족은 너무 어릴 때 아버님이 돌아가셔서
얼굴을 기억하지 못한다는 말을 듣고 유족의 얼굴 속에 남아있는 그 아버지를 그려 드리고
싶었다 헙네다 사진이 있는데 굳이 그림으로 그린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네다” “하여
이 그림은 유족의 그림이면서 그 희생자의 얼굴이고, 희생자의 그림이면서 유족의 얼굴입네다.
유족의 얼굴이자 희생자의 얼굴이고, 어쩌면 유적의 얼굴도 아니고 희생자의 얼굴도 아닌,
이승에 한 번도 존재한 적 없는 얼굴이웨다.”
―시인 김수열, 「폭낭에 연 걸리듯 설피낭에 옷 걸리듯」에서
소네마리 기획공모전시, ‘섬의 얼굴’은 김준환, 박종호, 박선영, Michael Evans 4인 작가의
각기 다른 해석으로 그려진 4·3 유족의 초상을 소개합니다. 이미 70년이 지난 그 학살에서
작가들은 철저히 무력합니다. 죽은 사람은 되살아날 수 없고, 고통스럽게 살아남은 사람들의
인생은 되돌릴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화가들의 무력함은 새로운 목격자를 만들고
그들로부터 기억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