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의 미학 - 서문 / 니꼴라 부리오
관계의 미학 - 서문
니꼴라 부리오(Nicolas Bourriaud,1965 ~ )
프랑스의 큐레이터이자 평론가, 이론가. 2000년에서 2006년까지 제롬 상스와 파리의 팔레드 도쿄의 공동 디렉터를 역임했다. 2010년부터 프랑스 문화부의 예술창작 감독기관장을 맡고 있다. 니꼴라 부리요는 1990년부터 베니스비엔날레,리옹비엔날레등 유럽 각지에서 크고 작은 전시를 기획하는 동시에 이론적 작업을 수행하면서, 현시대의 가장 영향력있는 유럽의 큐레이터로 자리 잡았다. 저서로는 <관계의 미학Esthetique relatiannelle>,<형태의 삶 Formes de vie, Une genealogie de la modernite>,<포스트프로덕션 Postproduction>,<래디컨트Radicant>등이 있다.
관계의 미학 - 서문
니꼴라 부리오는 현대 예술을 이해하고 담론화하는 문제에 있어서 대다수의 비평가와 철학자들의 거리두기와 한계를 이야기한다. 나아가 오늘날 예술가들이 제기하는 문제들, '즉 현대 예술의 실제적인 쟁점은 무엇이고, 그것이 사회.역사.문화와 맺는 관계는 무엇인가와 같은 문제들을 찾아내야한다는 어떤 절실함을 이야기하고 있다.
전통적인 기준에 의하지않은 "돌발적인" 현대 미술을 어떻게 해독해야 하는가? 리크리트 티라바니자, 바네사 비크로프트, 마우리치오 카틀란, 예스 브린크와 헨릭 프렌게 야콥슨등과 같은 작가들의 예를 들어 현대 예술은 상호작용적이고 상생적이며 관계적인 관념에 따라 전개된다고 그의 사유를 전개하고 있다.
오늘날의 커뮤니케이션은 사회적인 관계를 생산품으로 분류하는 통제된 공간들 속으로 인간관계들을 집어삼킨다. 예술적인 행동은 소박한 접촉들을 실행하고, 막힌 통로들을 열며, 서로 동떨어져 있는 현실의 여러 층위들이 접점을 찾도록 노력한다. 현대의 단역들의 사회에서 이상적인 주체의 지위는 시간과 공간의 소비자로 격감될 것이며 인간 상호간의 관계는 이 상업공간의 외부에서는 유지될 수 없을 것이라는 비관적인 관점을 제사하고 있다.
일상적인 관계의 공간은 보편적인 물화에 의해 가장 심하게 타격을 받은 공간이다. 이로부터 벗어나고 싶다면 인간 사이의 관계는 극단적이거나 은밀한 형태를 취해야만 한다고 그는 말하고 있다. 인간들의 관계가 더 이상"직접적으로 경험"되지 않을 뿐 아니라"스펙터클"한 재현 안에서 소원해지는 사회, 바로 여기에 오늘날 예술의 가장 예민하고 뜨거운 문제가 있다고 그는 보았다.
따라서 오늘날의 예술적 실천은 사회적 실험의 풍요로운 현장이자 행동의 획일화로부터 부분적으로 보호된 공간으로 나타난다고 이야기하며 본 저서를 통해 현대 예술의 정의를 찾아보길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