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 Writing/artwriting

미술 비평가 열전(1) - 미술 비평. 테리바렛 著

louis... 2017. 4. 22. 23:52




조르조 바사리 ( Giorgio Vasari , 1511~1574 )

 조르조 바사리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 도안가, 건축가, 수집가, 저술가로서 가장 위대한 화가, 조각가,

건축가들의 생애의 저자이다. 분량이 100페이지가 넘은 이책은 1550년에 두 권으로 출간됐으며 건축, 조각, 회화,

그리고 예술가들의 삶을 담고 있다. 이 저서는 미술사의 중요한 업적이자 이탈리아 르네상스 연구의 요체이다. 이 책은

미술가 열전 이상의 것이므로 바사리는 미술사의 아버지로 인식된다.

 “좋은 것은 더 좋은 것으로, 우수함은 탁월함으로라는 바사리식 식견이 빛나기 때문에 그는 미술 비평의 효시로

간주된다. 바사리는 사람들이 미술가들이 만든 것을 감상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과 지식을 가져야 한다고 생가했다.

바사리는 여타 미술가들과는 다른 시각으로 작품을 보았고, 그의 글을 읽은 모든 사람들의 판단능력평의 기준으로

삼았다. 바사리의 판단 기준은 '훈련된 눈'과 '기법에 대한 이해' 이 두가지였다.




 


드니 디드(Denis Diderot, 1718 ~ 1784)

프랑스의 저술가이자 비평가이자 철학자인 디드로는 예술과 과학의 백과 사전Encyclpedie을 편찬한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미술 비평가로서 그는 개인적인 관점을 명확히 표출한다는 점에서 근대적인 감각을 지닌 인물로 평가된다.

디드로는 미술에서 일관되게 적용할 수 있는 이론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작품에 관한 독단이나 절대주의적 입장을

피하면서 자신의 관점에 이성적 융통성을 유지했다. 두 세기전의 바사리처럼, 디드로 또한 눈은 잘 볼 수있게 교육돼야

하며 감식력의 계발은 관찰과 체험에 달려 있다고 믿었다.

그는 미술가의 친구가 되어 미술을 만들어가는 기술을 익혔고 예리한 감식안을 추구했다. 디드로는 비평을 쓰는 어려움을

잘 알고 있었다. 아울러 그는 회화나 조각의 요체를 언어로 치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면서 비평의 한계를 인식했다.




    

 

샤를 보들레르( Charles Pierre Baudelaire , 1821 ~ 1867 )

프랑스의 시인이자 미술 비평가인 보들레르는 일찍부터 미술을 사랑했으며, 젊은 시절부터 예술철학 및 비평에

몰두하였다. 보들레르는 자신의 글이 강렬하고 이념적이며 당파적인성격을 띤 글이기를 바랬다. 비평에서 그의

어조는 거칠고 무절제했다.

   보들레르는 도시인이었고, 세계관이나 심미안이 자연을 음미하는 태도와는 거리가 멀었다. 그는 상상력과 이상주의에

의해 탄생된  보는 이로 하여금 심오한 감동을 일으키게하는 작품을 옹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