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 Writing/예술이란... 18

< 비정형 , Informe > - 바타이유 ( Georges Albert Maurice Victor Bataille, 1897 ~ 1962 )

Georges Bataille은 프랑스의 수필가, 철학자, 사서, 포르노 작가로서 영향력있는 저널 『Critique and Acéphale』의 창립자였다. 그는 전통 문학을 거부하고 모든 섹스, 죽음, 타락, 그리고 음란에 대한 다양한 저작을 남겼다. 그의 사상은 Roland Barthes, Jean Baudrillard, Jaques Derrida, Michel Faucault, Julia Kristeva 와 같은 현대 대표적 철학, 역사, 사상가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비정형 , Informe 비정형은 합리적인 지성의 질서와 수직 체계를 거부하고 부조리한 세계로부터 탈출하려는 반항적인 욕망의 표현이다. 비정형은 사물의 고유한 형태를 부정함으로써 모든 범주들의 부재와 자아의 해체를 지시한다. 의도적으..

저자의 죽음 / 롤랑 바르트 Roland Barthes

저자의 죽음 / 롤랑 바르트 Roland Barthes 롤랑 바르트(1915. 11 ~ 1980. 3 )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소설가, 비평가로서 소르본 대학에서 고전문학을 공부하고 이후 1952년 파리의 국립 과학 연구소이 연구원이 되었다. 근대문학의 형성을 다룬 1953년 , 1957년 일상생활의 이데올로기를 비판한 기고문을 모아 엮은 을 썼다. 1976년에 콜레쥬 드 프랑스의 문학 기호학 교수로 초빙되었다. 바르트의 다방면의 작품들은 고유한 발전과 현실적 위치를 끊임없이 성찰한 결과들이다. 1980년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롤랑 바르트는 발자크의 중편소설 의 문장을 예로 들며 본 논고를 시작한다. 그가 말하는 글쓰기는 인간의 주체가 도주해 버린 중성적이고 복합체적이며 간접적인 것, 즉 글을..

작품에서 텍스트로 / 롤랑 바르트 Roland Barthes

작품에서 텍스트로 / 롤랑 바르트 Roland Barthes 롤랑 바르트(1915. 11 ~ 1980. 3 )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소설가, 비평가로서 소르본 대학에서 고전문학을 공부하고 이후 1952년 파리의 국립 과학 연구소의 연구원이 되었다. 근대문학의 형성을 다룬 1953년 『글쓰기의 영도』, 1957년 일상생활의 이데올로기를 비판한 기고문을 모아 엮은 『신화론』을 썼다. 1976년에 콜레쥬 드 프랑스의 문학 기호학 교수로 초빙되었다. 바르트의 다방면의 작품들은 고유한 발전과 현실적 위치를 끊임없이 성찰한 결과들이다. 1980년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지난 몇년간 언어에 대한 개념에 무언가 변화가 일어났고, 그 결과 현상적인 존재 여부가 언어에 달려있는 문학작품의 개념에도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변화..

관계의 미학 - 동존同存과 가용성 :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의 이론적 유산

관계의 미학 / 니꼴라 부리오 Nicolas Bourriaud 니꼴라 부리오(Nicolas Bourriaud,1965 ~ ) 프랑스의 큐레이터이자 평론가, 이론가. 2000년에서 2006년까지 제롬 상스와 파리의 팔레드 도쿄의 공동 디렉터를 역임했다. 2010년부터 프랑스 문화부의 예술창작 감독기관장을 맡고 있다. 니꼴라 부리요는 1990년부터 베니스비엔날레,리옹비엔날레등 유럽 각지에서 크고 작은 전시를 기획하는 동시에 이론적 작업을 수행하면서, 현시대의 가장 영향력있는 유럽의 큐레이터로 자리 잡았다. 저서로는 ,,,등이 있다. 관계의 미학 - 동존同存과 가용성 :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의 이론적 유산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의 은 일종의 "퍼포먼스"도 포스터의 배포에 관한 것도 아니다. 그것은 정해진 형..

관계의 미학 - 90년대의 예술

관계의 미학 - 90년대의 예술 니꼴라 부리오(Nicolas Bourriaud,1965 ~ ) 프랑스의 큐레이터이자 평론가, 이론가. 2000년에서 2006년까지 제롬 상스와 파리의 팔레드 도쿄의 공동 디렉터를 역임했다. 2010년부터 프랑스 문화부의 예술창작 감독기관장을 맡고 있다. 니꼴라 부리요는 1990년부터 베니스비엔날레,리옹비엔날레등 유럽 각지에서 크고 작은 전시를 기획하는 동시에 이론적 작업을 수행하면서, 현시대의 가장 영향력있는 유럽의 큐레이터로 자리 잡았다. 저서로는 ,,,등이 있다. 참여와 전이성 플럭서스Fluxus의 해프닝과 퍼포먼스에 의해 이론화된 관객의 "참여"는 예술적 실천의 일반적인 경향이 되었다. 커뮤니케이션의 매개체 전체에서 상호작용이 차지하는 부분은 양적으로 크게 증가했다...

관계의 미학 - 관계적 형태 / 니꼴라 부리오

관계의 미학 니꼴라 부리오(Nicolas Bourriaud,1965 ~ ) 프랑스의 큐레이터이자 평론가, 이론가. 2000년에서 2006년까지 제롬 상스와 파리의 팔레드 도쿄의 공동 디렉터를 역임했다. 2010년부터 프랑스 문화부의 예술창작 감독기관장을 맡고 있다. 니꼴라 부리요는 1990년부터 베니스비엔날레,리옹비엔날레등 유럽 각지에서 크고 작은 전시를 기획하는 동시에 이론적 작업을 수행하면서, 현시대의 가장 영향력있는 유럽의 큐레이터로 자리 잡았다. 저서로는 ,,,등이 있다. 관계의 미학 - 관계적 형태 니꼴라 부리오는 현대의 예술적인 활동은 사회적 맥락에 따라 형태와 양상, 그리고 기능이 변화하는 게임이지 불변하는 하나의 본질이 아니라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비평의 임무는 현재의 그것을 연구하는 데 ..

관계의 미학 - 서문 / 니꼴라 부리오

관계의 미학 - 서문 니꼴라 부리오(Nicolas Bourriaud,1965 ~ ) 프랑스의 큐레이터이자 평론가, 이론가. 2000년에서 2006년까지 제롬 상스와 파리의 팔레드 도쿄의 공동 디렉터를 역임했다. 2010년부터 프랑스 문화부의 예술창작 감독기관장을 맡고 있다. 니꼴라 부리요는 1990년부터 베니스비엔날레,리옹비엔날레등 유럽 각지에서 크고 작은 전시를 기획하는 동시에 이론적 작업을 수행하면서, 현시대의 가장 영향력있는 유럽의 큐레이터로 자리 잡았다. 저서로는 ,,,등이 있다. 관계의 미학 - 서문 니꼴라 부리오는 현대 예술을 이해하고 담론화하는 문제에 있어서 대다수의 비평가와 철학자들의 거리두기와 한계를 이야기한다. 나아가 오늘날 예술가들이 제기하는 문제들, '즉 현대 예술의 실제적인 쟁점은..

조르쥬바타이유에 있어 시각적 죽음과 현대 미술

조르쥬바타이유에 있어 시각적 죽음과 현대 미술 김원방 (1958년 ~ ) 파리제1대학교 대학원, 2008년 부산 비엔날레 전시감독, 미술평론가, 현 홍익대학원 교수 (저서 - 몸이 기계를 만나다, 잔혹극속의 현대미술 등 ) 출전 : 2010년 5월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정기 심포지움 "유럽 문화에 표현된 죽음"에서 발표된 글임 조르쥬바타이유는 1920 ~ 40년대 왕성한 활동을 한 철학가로서 기존 시각 중심주의 사상 - 이성적인 감각을 통해 생성된 지적, 객관적등의 서구 사상에 반기를 들며 현대 인문학, 특히 후기 모더니즘에 지대한 영향을끼친 사상가로서 1980년대 미국의 현대 미술에서 집중적으로 연구되었다. 그의 사상의 중심은 죽음을 나아가는 극한 삶을,즉 죽음까지 파고드는 삶을 직시함으로서 억..

퀴어 벽지 Queer Wallpaper / 제니퍼 도일 Jennifer Doyle

퀴어 벽지 Queer Wallpaper 제니퍼 도일 Jennifer Doyle 제니퍼 도일 Jennifer Doyle은 UC리버사이드에서 교수로 재직중이며 미국 문학과 문화연구, 시각 연구, 현대 미술사, 젠더 연구등의 분야의 전문가이다. 제니퍼 도일은 우연히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M.J.'S라는 게이바에 우연히 들렸다가 앤디 워홀의 1978년 실크스크린 시리즈 중 하나인 라는 판화를 발견했다고 이야기하면서 본 글을 시작한다. 이 판화는 M.J.'S 뒤편 벽에 걸려있었으며 이 작품은 다른 '게이 미술품'들과 함께 술집의 벽에 걸려있었다. 제니퍼 도일은 미술이나 비평을 묘사하는데 있어 '퀴어'라는 단어를 쓸때 우리는 분명 섹슈얼리티가 미술에서 갖는 중요성에 대해 뭔가를 이야기하는 것이지만, 이것이 꼭 그 작..

알레고리를 창출하려는 충동 Allegorical Impulse : Toward a Postmodernism

알레고리를 창출하려는 충동 Allegorical Impulse : Toward a Postmodernism 크레이그 오웬스 Craig Owens 크레이그 오웬스 Craig Owens (1950~1990) 미국의 포스트모더니즘 미술 비평가이자 게이 활동가이며 페미니스트로서 최근의 미국 미술의 동향을 이론적으로 구명하려고 시도하는 미술 비평가 지의 편집장으로 일했으며, 지의 편집자를 역임한 바 있다. 하버포드대학을 졸업하고 예일대학교와 버나드 대학의 미술사 교수로 재직했다. 그는 사진,페미니즘,게이정치학,미술 시장, 정신 분석학등 다양한 주제에 관해 논문을 저술하였다. 크레이그 오웬스는 본문 ‘알레고리를 창출하려는 충동’을 통해 과거 모더니즘 시기 배척당했던 알레고리의 의미와 새로운 이해를 말해 준다. 알레..